반응형

경제지식/경제학원론 61

게임이론(Game Theory)이란? 용의자의 딜레마와 조정게임! [이춘근 티스토리 289회]

▣ 게임이론(Game Theory)이란?게임 이론은 제2 차 세계대전 이후 응용 수학에 일부러 등장했는데, 경제학에서 밀접한 상호 의존 관계에 있는 과점기업간의 경쟁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게임이론은 각자의 행위가 자기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이해관계에도 영향을 끼치는 상황에서 서로 어떤 전략을 세워 행동하는가를 연구하는 이론이다. 게임이론은 전략적 상황에서 경제주체들이 어떤 형태를 보일 것인지를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합리적인 경제주체는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결과를 가져오는 전략을 선택하려 할 것인데, 상대방 역시 똑같은 관점에서 새로운 전략을 선택하려 할 것이기 때문에 게임의 결과를 쉽사리 예측하기 힘들어진다. 그러나 게임의 성격에 따라서는 가장 그럴듯한 결과라고 할 수 있..

필립스곡선의 정의와 장, 단기 필립스곡선, 스태그플레이션과 자연실업률이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70회]

필립스곡선의 정의와 장, 단기 필립스곡선, 자연실업률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 필립스곡선(Phillips Curve)의 정의뉴질랜드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활동한 경제학자 윌리엄 필립스(Alban William Phillips; 1914.11.18~ 1975.3.4.)가 1861년에서 1957년 사이 영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명목임금 상승률과 실업률에 상충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 곡선이다. 한마디로, 필립스 곡선은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원래의 필립스곡선은 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상충적인 관계로 나타냈지만, 현재는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사이의 상충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명목임금 상승은 물가 상승과 비례하는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명목임금 상승률을 인..

기대수익의 투자결정이론! 고전학파 현재가치법과 케인즈의 내부수익률법 비교!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58회]

기업이 투자하는 이유는 기업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기 때문이다. 투자하여 손해를 본다면, 투자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이치와 한계 원리를 이용하여 투자를 설명하는 것이 기대수익에 의한 투자결정이론이다. 이 이론에는 고전학파의 현재가치법과 케인즈의 내부수익률법이 있다.1. 고전학파의 현재가치법( Present Value Method)투자에 관한 현재가치법은 미국의 경제학자 피셔(I. Fisher)가 적립한 고전학파의 투자결정이론이다.현재가치(Present Value)는 미래에 실현될 수위계의 흐름을 현재의 시점으로 평가하여 치환한 가치이다. 다시 말하면 미래의 실현될 가치를 현행 이자율로 할인한 평가 시점에서의 가치이다. 기대수익의 현재가치를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자율이 연 10%일 때, ..

항상소득가설과 생애주기가설, 습관유지가설이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53회]

소비이론에서 항상소득가설과 평생소득가설, 습관유지가설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 항상소득가설= 영구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프리드만(M. Friedman)은 소비가 단기의 절대 소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기대소득으로서의 항상 소득(恒常所得)에 의존한다고 주장 했다.프리드만은 실제로 측정되는 소득을 실제 소득이라 하고, 실제 소득(Y)은 항상소득(Yp) 또는 영구소득과 임시소득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위의 도표에서 호황기에는 불황기에 비해서 임시소득이 비교적 많다. 따라서 임시소득이 실제 소득보다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호황기가 불황기보다 크다. (3)식에서 (Yt/Y) 가 클수록 APC(평균소비성향)는 작아진다. 즉 호황기의 APC가 불황기의 APC 보다 작다..

가속도원리(加速度原理, acceleration principle)란 무엇인가? 고전적 가속도원리와 근대적 가속도원리, 그리고 한계는?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48회]

가속도원리(加速度原理, acceleration principle)에 의한 투자결정이론을 설명한다. 이는 경제학자 사무엘슨 (P. A. Samuelson), 아프따리옹(A. Aftarion), 클라크(J. M Clark) 등이 주장한 것으로,  소비와 투자, 산출과 자본설비, 자본과 투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원리이다. ▣ 가속도원리(加速度原理, acceleration principle)란?가속도원리는 소비지출의 변화가 투자에 미치는 가속도적인 효과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소비의 변동이 높은 비율의 유발투자의 변동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케인즈의 투자결정이론이 이자율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대해서, 가속도원리는 수요측면에 중점을 둔 투자결정이론이다. 소득이 늘고 소비재의 수요가 증가하면 종래의 설비로는 필..

J곡선 효과(J-curve Effect)란 무엇인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46회]

J곡선효과는 환율이 상승할 때 처음에는 오히려 경상수지가 악화되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야 경상수지가 개선되는 효과를 말한다. J커브란 명칭은 과거 영국 파운드화가 절하될 때 무역수지가 변동되는 모습이 J자형을 그리고 있다는 데서 비롯됐다. J곡선효과(J-curve effect)는 환율이 오를 때 초기에 무역수지(수출액-수입액)가 악화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무역수지가 개선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때 무역수지가 변동되는 모습이 영문자 J를 닮아서 'J곡선효과'로 불린다.환율이 상승하면 국내 수출품 가격이 하락하는데, 만일 이 가격 하락에 대응해 수출물량이 증가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면 당분간 가격에 물량을 곱한 수출액은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즉,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입가격의 변동과 이에 따른 수..

승수이론의 몇 가지 문제점과 유의할 점이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12회]

승수이론의 몇가지 문제점 내지 유의할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적으로 자원이 불완전 고용상태에 있고, 물가수준도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2. 승수원리는 자발적인 지출에 변화에 따라서 국민소득수준이 즉각적인(instantaneous) 변동을 보인다고 가정하고 있다.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지출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균형국민소득 수준에 도달하는 데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하다. 3. 승수효과는 오직 자발적인 지출의 변화가 매기에 계속해서 일어날 때만 발생한다. 만약 투자지출이 한 번만 증가하는 경우에는 얼마 후에는 다시 원래의 균형수준으로 돌아간다. 4. 승수원리를 설명할 때 자발적인 지출이 증가하는 경우만을 생각했는데, 반대로 자발적인 지출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승수원리는 똑같이 적용된다. 예..

승수이론이란! 민간경제 하의 투자승수이론!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09회]

승수이론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민간경제하의 투자승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민간경제라고 하는 것은 경제 주체 중에서 가계와 기업만으로 이루어진 경제를 의미한다. ▣ 승수이론(Multiplier Theory)이란? 승수이론(Multiplier Theory)은 국민소득의 순환과정에서 어떤 외부로부터 주입(I,G,X; 투자, 정부지출, 수출)이 있게 되면, 국민소득은 승수효과를 가지고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효과가 발생하는 원인 및 그 효과의 크기를 설명하는 것이다. 케인즈이론(J.M. Keynes)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의 하나이다. 케인즈 단순모형에서 독립지출이 증가하면 국민소득은 단지 독립지출의 증가분만큼만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 몇 배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승수효과(Multipl..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과 합성의 오류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08회]

▣ 절약의 역설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투자도 증대하는 경우에 사람들이 저축을 증대시킨다고 하면, 소득만 감소하는 것이 아니고 저축도 오히려 감소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절약의 역설이 성립되는 곳은 투자기회가 부족하여 투자가 잘 되지 않는 부유한 선진국들의 나라에서 볼 수 있다. 이는 개인에게는 저축은 미덕에 속하나 사회에 전체적으로는 악덕에 속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개인이 절약을 하여 저축을 늘리고자 하면 총수요가 감소하여 국민 소득이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총저축이 늘어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태내면 다음과 같다.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

GDP갭과 오쿤의 법칙이란 무엇인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02회]

▣ GDP갭 GDP갭은 잠재적 GDP와 실제GDP와의 격차를 말한다. 여기서 잠재적 GDP란 그 경제가 자연실업률인 4%의 실업률하에서 생산할 수 있는 최대한의 산출고를 의미한다. 잠재GDP는 한나라 국경 안에서 존재하는 모든 생산요소를 정상적으로 고용할 경우 생산 가능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를 말한다. 이용 가능한 모든 생산 요소가 정상적으로 고용되는 상태를 완전고용이라 한다. 따라서 잠재GDP는 완전고용GDP 혹은 완전고용 국민소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GDP갭=잠재GDP-실제GDP 자연실업률(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은 마찰적, 계절적 실업 등으로 인하여 완전고용하에서도 존재하는 일정 실업률을 의미하며, 완전고용수준에서의 실업률을 나타낸다. 다시말하면, 자연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와 GDP디플레이터!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98회]

▣ 명목GDP와 실질 GDP의 차이 1. 명목 GDP(norminal GDP)=경상시장가격 GDP(GDP in current market prices) 당해년도의 최종생산물에 당해연도의 시장가격을 곱하여 얻는 GDP 2. 실질 GDP=불변시장가격 GDP(GDP in constant market prices) 당해년도의 최종생산물에 임의의 특정연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 기준년도의 시장가격을 곱하여 얻는 GDP 예를 들면, 2024년의 명목GDP는 2024년의 최종생산물을 2024년의 시장가격을 곱하여 평가한 것이고, 2020년을 기준으로 한 2024년의 실질GDP는 2024년의 최종생산물을 2020년의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이다, ▣ GDP 디플레이터 GDP 디플레이터는 경상시장가격GDP를 불변시장가격GDP..

국민소득의 종류! NNI, NI, NDI, PI, PDI, PADI 개념과 차이는?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77회]

한 나라의 총생산 총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로 GDP가 가장 많이 쓰이지만, GDP가 유일한 지표는 아니다. 총생산을 추계하여 기록하는 국민소득 계정에는 GDP와 다소 다른 여러가지 생산, 소득측정 지표들도 포함된다. 그 중에서 중요한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GDP가 기본적으로 한나라 내에서의 생산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한나라 국민(거주자)의 소득은 국민소득 포괄범위에 따라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국민처분가능소득(NDI: National Disposal Income)등 다양한 지표로 측정되고 있다. 여기서는 한국은행이 작성·발표하는 여러 가지 국민소득지표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국민총소득(GNI), 국민순소득(NNI), 국민소득(NI), 국민처분..

고전학파(classical school)의 국민소득결정이론!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75회]

고전학파는 한나라의 국민소득수준이 그 나라의 생산기술, 자본량, 노동량 등의 공급측면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본다. 고전학파(classical school)의 경제원리는 노동가치설에 근거하여 노동시장이 균형을 이룰 때 국민소득이 결정되며, 공급은 스스로 그 수요를 창출한다는 공급측면의 경제원리이다. 시장 가격은 매우 탄력적이어서 항상 수급을 조절하여 균형에 이르게 하고, 화폐는 중립적이어서 실물경제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국민소득 결정이론이다. ▣ 고전학파의 기본 가정 ① 가격변수의 신축적 조정; 아담 스미스의 : 노동시장에서의 신축성으로 높은 실업률이 지속될 수 없다고 생각함/ 1929년에 대공황으로 10여 년 간의 기간 동안 높은 실업률이 지속되자 이 가정이 깨짐 ② 완전 정보; 경제주체들은 시자..

GDP와 GNI, GNP의 의미와 차이는?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74회]

▣ GDP(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GDP)이란 일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화폐 단위로 환산하여 더한 값이다. GDP의 개념은 ‘어느 나라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생산활동에 참여했느냐’에상관없이 그 나라 안에서 만들어낸 모든 것을 계산한다.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의 생산활동은 우리나라 GDP에 계산된다. 반면, 삼성이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 것은 우리나라 GDP에 계산되지 않고 중국의 GDP에 계산된다. 외국 모델이 국내에서 활동하는 경우 이는 우리나라 GDP에 계산되지만, 박찬호의 메이저리그 활동은 미국 GDP에 계산된다. 이처럼 GDP는 국적이 아니라 영토가 기준이 된다. 1인당 GDP는 오늘날 국가간..

케인즈이론의 골격! 유효수요이론의 체계는?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73회]

케인즈(John Maynard Keynes, 1883년 6월 5일 ~ 1946년 4월 21일)는 거시경제학과 경제 정책 분야에서 기존의 이론과 관습들을 변화시킨 영국경제학자이다. 일명 거시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어 진다. 1883년 6월 5일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으며, 이튼을 거쳐 케임브리지의 킹스칼리지에서 수학하고, 수학과 우등시험에서 12등으로 합격했다. 졸업 후 한 때 인도성에 근무하다가 대학에 돌아와 금융론을 강의했고, 그 후 약 20년간 앨프리드 마셜(Alfred Marshall)의 충실한 후계자로서 아서 세실 피구(A.C.Pigou)와 더불어 케임브리지학파의 쌍벽을 이루었다. 또 Royal Economic Society의 서기로 있었고, Economic Journal의 명편집자로서 잡지를 ..

지브랏의 법칙(Gibrat's law) 이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71회]

지브랏의 법칙은 소득분포에 관한 법칙의 하나이다. 1931년 프랑스의 통계학자 지브랏(Robert Gibrat, 1904-1980)이 제시한 것으로, 이전에 있던 V. 파레토의 법칙 및 C. 지니의 법칙으로는 저소득층의 현실적인 소득분포상황을 충분히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결점을 수정하려는 의도로 제시되었다. 종래의 파레토 법칙이나 지니계수가 저소득층에는 들어맞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난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시된 것이다. 소득(X)과 그 소득을 가지는 인원(Y)의 상대도수(비율)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대수정규분포(對數正規分布) 로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면세점 이하의 소득분포를 고려할 경우, 소득액 X의 자연대수치와 소득인원 Y와의 수치를 대응시킬 수 있다면, 소득분포가 대수정규분포로 나..

왈라스의 법칙(Walars` law) 또는 왈라스의 일반균형이란? [이춘근교수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70회]

왈라스(Leon Walas)의 일반균형 또는 왈라스의 법칙은 모든 개별 경제주체가 수요하고자 하는 재화들의 총화폐가치는 그들이 공급하고자 하는 재화들의 총화폐가치와 반드시 동일하게 된다는 것이다. 화폐를 포함한 모든 재화의 수요총액이 화폐를 포함한 모든 재화의 공급총액과 같다는 사실이다. 다음 식이 성립한다는 것이다.이 식의 의미는 어느 시점에서 계획된 시장수요의 총화폐가치는 계획된 시장공급의 총화폐가치와 항상 같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경제 내의 임의의 어느 하나의 시장을 제외한 모든 시장들이 각기 균형 상태에 있다면, 그 제외된 시장에서도 반드시 균형이 성립하게 된다. 즉 n-1개의 시장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나머지 n개의 시장에도 자동적으로 균형이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이..

계층별 소득분배의 측정! 10분위분배율과 5분위배율, 로렌츠곡선, 지니계수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67회]

계층별 소득분배의 측정! 10분위분배율과 5분위배율, 로렌츠곡선, 지니계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층별 소득분배는 상이한 소득 계층 간의 소득이 얼마나 (불)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는가를 보여준다. 계층별 소득분배는 개인별 소득 분배라고도 한다. 계층별 소득 분배에서는 소득의 원천이나 형태를 따지지 않고 소득의 크기만을 중시한다. 계층별 분배는 통상 가계 단위로 파악을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소득은 도시 가계와 농촌 가계로 구분하여 파악되고 있다. 가계소득의 계층별 소득분배 상태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10분위분배율, 로렌츠 곡선, 지니계수, 5분위배율 등이 있다. ▣ 10분위분배율 국내총생산(GDP)의 변화를 통해 한 나라가 얼마나 부유해졌는가를 알 수 있지만, 국민들의 소득이 어떤 형태로 분포되..

국내총생산(GDP)의 개념과 명목GDP와 실질 GDP의 차이, 추계방법은?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64회]

▣ 국내총생산(GDP)의 개념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은 한나라 국경안에서 일정기간 새롭게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합산한 것이다. GDP는 일정기간 동안에 한나라의 국경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 가치이다. 여기서 최종생산물이란 본래의 형태 그대로 수명을 다할 때까지 최종 용도에 사용되는 생산물을 말한다. 중간생산물이란 다른 생산물을 사용하는 데에 쓰여져 본래의 형태가 없어지는 생산물을 말한다. GDP= 한나라 국경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 총산출-중간 생산물 여기서 「한나라 안에서」란 지리적 영역(geographical territory)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아니며 주된 경제이익(predominant economic intere..

생산요소시장의 이윤극대화 조건인 MRP=MFC란?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63회]

생산물시장에서 기업의 이윤극대화조건은 상품을 한 단위 더 생산하는 데 따르는 MR(한계수입)=MC(한계비용)이 같게 되는 수준까지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는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 많이 팔려야지 발생하는 파생적 수요(derived demand)이다. 따라서 생산물시장에서의 기업의 이윤극대화원리는 생산요소시장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즉 기업의 이윤극대화 요소구입조건은 요소를 한 단위 더 고용할 때 이에 따르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게 되는 수준까지 요소를 고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생산물시장에서의 MR=MC 조건을 요소시장에서도 적용시키는 이론이 요소수요의 한계생산력이론이다. 다만 요소시장에서 이윤극대화 요소구입조건을 논할 때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라는 용어 대신에 요소의 한계수입생산..

과점이론인 굴절수요곡선 이론과 가격의 경직성!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61회]

과점이론인 굴절수요곡선이론과 가격의 경직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굴절수요곡선이론은 한 기업이 가격을 조정할 때 다른 기업들의 반응에 관해서 설명하는 이론이다. 한 기업이 현재의 시장가격에서 가격을 인하하면 다른 기업들도 시장을 잃지 않으려고 따라서 가격을 인하한다. 그러나 가격을 인상하면 다른 기업들은 가격을 따라서 올리지 않고 수요의 증가에 따른 시장의 확대를 노린다. 이처럼 다른 기업들이 가격 인하는 따르되 가격 인상은 따르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과점기업은 현행 가격에서 꺾이는 수요곡선을 가지게 된다. 굴절수요곡선에 대한 설명은 1939년 미국에서는 스위지(Paul Sweezy), 영국에서는 홀(R. L. Hall)과 히치(C. J. Hitch)가 각각 독립적으로 발표되었다. 당시에는 과점시장에서 형성된..

독점적경쟁기업의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55회]

독점적경쟁기업의 단기균형과 장기균형에 대해서 설명한다. ▣ 단기균형 독점적 경쟁기업은 상품 차별화를 통해 독점기업처럼 우하향의 수요곡선을 갖는다. 따라서 기업이 이윤극대화를 추구한다면 독점적 경쟁기업의 단기균형은 독점기업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다를 것이 없다. 다만 독점적 경쟁기업의 수요곡선은 독점 기업의 수요곡선보다 약간 더 완만하다. 독점시장의 균형과 비슷하지만, 경쟁자가 전혀 없는 독점시장에 비해서 경쟁자(대체재)가 있기 때문에 조금 다른 기울기의 곡선으로 나타난다. 독점시장에서의 한계수입과 수요는 비탄력적이라 기울기가 가파르게 나타나지만, 독점적 경쟁시장에서는 대체재가 있어 상대적으로 탄력적이기 때문에 기울기가 보다 완만하다. 완전경쟁시장에서의 한계수입은 기울기가 0인 가로선(수평선)임으로 독점적 ..

독점적경쟁시장의 정의와 특징!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54회]

독점적경쟁시장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독점적 경쟁(獨占的競爭, monopolistic competition)이란 불완전경쟁의 한 형태로 완전경쟁과 독점의 중간적 시장형태이다. 독점적 경쟁시장에서 단기에는 기업들이 독점과 같이 행동할 수 있지만, 장기에는 다른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해오기 때문에 점점 완전 경쟁의 형태에 가까워져 독점적인 지위를 누릴 수 없게 된다. 독점적 경쟁은 완전경쟁과 독점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시장 조직이다. 먼저 산업 안에 많은 기업이 존재하고 기업의 자유로운 진입과 퇴거가 보장되는 점은 완전경쟁과 같다. 그러나 완전경쟁기업의 시장지배력을 가지지 못하는 반면에 독점적 경쟁기업은 독점기업처럼 완벽한 시장 지배력은 아니지만 공급량을 조절하여 시장 가격을 약간씩 변경시킬 ..

과점시장의 정의와 특징!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53회]

▣ 과점(oligopoly)의 정의 과점은 소수의 공급자에 의해서 완전 동질품 혹은 교차탄력성이 높은 이질적 제품이 공급되는 시장 형태이다. 과점은 독점 시장에 가까우면서 완전경쟁시장의 요인들도 일부 갖고 있는 시장으로, 소수 기업에 의해 지배되는 시장을 뜻한다. 과점시장은 시장 내에 소수의 기업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업 간 상호의존성이 매우 높은 시장이다. 한마디로 소수의 대기업에 의해서 지배되는 시장을 말한다. ▣ 복점(Duopoly); 과점시장의 특수한 형태인 복점은 2개 기업이 동질적인 제품을 공급하는 시장 형태 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복점의 예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지배하는 국내외 주요 항공노선을 들 수가 있다. 과점의 경우는 아이스크림, 껌, 맥주, 설탕에서부터 소주, 냉장고, 승용차,..

독점기업의 공급곡선이 없는 이유는?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148회]

독점기업의 공급곡선이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완전경쟁기업은 항상 시장가격을 주어진 그대로 받아들여 정해진 시장가격으로 얼마든지 제품을 팔 수가 있다. 이로부터 임의의 시장 가격에서 수평인 수요곡선= 한계수입곡선(P=MR)을 얻게 되고, 이 한계수입곡선과 우상향하는 한계비용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이용극대화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독점기업에서는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으로 인하여 한계수입 곡선이 항상 수요곡선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독점시장가격은 기업의 생산량과 독립적인 관계를 가지지 않고 생산량의 많고, 적음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임의의 시장 가격에서 MC곡선은 이윤극대화 공급량을 표시에 주지 않는다. 그러면, 독점기업의 단기공급곡선은 어떻게 표시되는가 ? 한마디로 말해서 독점기업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