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지식/산업연관분석 4

파급효과 분석에 대한 일부 사이비 학자 오해! [이춘근교수 티스토리 379회]

산업연관분석기법은 많은 유용성이 있지만 몇 가지 가정이나 한계가 있다. 즉 산업연관모형은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constant returns to scale) 현상을 가정한다. 즉 생산요소를 10% 증가시키면 산출물도 10%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체 생산방법과 결합생산(joint production)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이다. 즉, 각 상품에 대하여 하나의 생산방법만 존재하고, 한 산업은 한 상품만 생산 즉, 각 상품과 각 산업부문은 1대 1의 대응 관계에 있다고 가정한다. 또, 요소 간에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때 등생산량 곡선(isoquent curve)은 L자형이 된다. 만약 중간 투입물에 대한 대체탄력성(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이 영(0)라는 것이..

산업연관분석의 유용성!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378회]

산업연관분석의 기본 가정에도 불구하고 산업연관분석의 유용성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산업연관분석은 국민경제 전체를 포괄하면서 전체와 부분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거시적 분석과 미시적 분석을 할 수 있고, 거시적 분석이 미치지 못하는 산업과 산업간의 상호연관관계까지도 분석이 가능하다. 둘째,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에 대한 생산, 고용, 소득 등 국내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각종 파급효과를 산업부문별로 나누어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계획의 수립과 예측 그리고 산업정책의 방향이나 조정 등에 유용한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비용인상요인(cost-push factors)에 의한 물가파급효과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다. 즉 산업상호간의 직접 및 간접 가격파급구조를 정확..

세계산업연관표에 의한 한중일간 기계장비산업의 승수효과 분해 분석! [이춘근 티스토리 186회]

1. 서 론 최근 자유무역협정(FTA)과 다국적기업의 확대, 글로벌화의 심화 등으로 국가 간 생산의 분업화와 글로벌 네트워크화가 점차 강화되어 국가 간 산업연관구조의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생산과정의 글로벌화로 글로벌 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s)라는 개념이 새롭게 조명되고, 제품생산이 일국에서 글로벌 생산으로 확대됨에 따라 국가 간, 산업 간 생산 사이의 연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복잡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산업연관모형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단일지역이나 다지역 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업 간, 지역 간 연관구조를 주로 분석하였으나 국제 또는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연구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세계산업연관표는 WIOD(World Input-Output Dat..

산업연관분석에 대한 오해와 무지한 비판자! [이춘근 경제지식 티스토리 81회]

산업연관분석(투입산출분석) 분야를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 모르는 비전공 학자나 일부 극소수 경제학자들은 산업연관분석기법을 폄훼하는 자가 있어 정리한다. 이런 학자들은 자기가 무지하다는 것을 자각하고 반성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자들은 자기의 무지는 모르고 남 탓만 하는 학자들이다. 특히 외국에서 학위를 받은 소장학자들 중에 몇명이 있다. 해당 국가 영어는 다소 할지 모르지만 이 분야를 거의 모르는 한심한 사람들이다. 학회에 나가서 발표를 해보면 가끔 그런 사람들을 토론자로 만날 때가 있다. 제가 자주 나가는 학회에서는 그런 학자가 없는데, 처음으로 다른 학회에 가보니 그런 학자들이 있었다. 자기도 산업연관분석(IO분석)에 대해서 좀 알고 논문도 발표했다고 하는데, 한국연구재단 연구자정보와 학술논문 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