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경제학원론

가속도원리(加速度原理, acceleration principle)란 무엇인가? 고전적 가속도원리와 근대적 가속도원리, 그리고 한계는? [이춘근 경제학원론 티스토리 248회]

경제지식(레오)7788 2024. 6. 9. 07:00

가속도원리(加速度原理, acceleration principle)에 의한 투자결정이론을 설명한다. 이는 경제학자 사무엘슨 (P. A. Samuelson), 아프따리옹(A. Aftarion), 클라크(J. M Clark) 등이 주장한 것으로,  소비와 투자, 산출과 자본설비, 자본과 투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원리이다.
 

▣ 가속도원리(加速度原理, acceleration principle)란?

가속도원리는 소비지출의 변화가 투자에 미치는 가속도적인 효과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소비의 변동이 높은 비율의 유발투자의 변동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케인즈의 투자결정이론이 이자율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대해서, 가속도원리는 수요측면에 중점을 둔 투자결정이론이다.
 
소득이 늘고 소비재의 수요가 증가하면 종래의 설비로는 필요량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설비의 건설 내지 설비물의 매입이 필요하게 된다. 즉 소비수요의 증가가 그 몇 배에 해당하는 투자(자본재)를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의 투자를 유발투자라 하는데, 투자의 증가는 일정한 비율로 국민소득을 증가시켜 소비도 자연적으로 증대된다.
 
가속도원리는 특히 케인스 이래 승수이론과 더불어 경기변동이나 경제성장을 분석하는 데 기초가 되고 있다.
 
1. 고전적 가속도원리
소비재(C)에 대한 약간의 수요 증대가 투자재(I)에 대한 가속도적인 수요증대를 일으킨다는 이론; △I/△C

반응형

2. 근대적 가속도원리
국민소득의 증가분에 대한 일정비율의 투자증가가 이루어 진다는 이론이다.
즉 I=α△Y
여기서 α는 가속도계수이다. 이 가속도계수는 국민소득의 증가분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므로 유발투자라 한다.
 
이를 보자 자세히 설명하면,  t기의 소비는 t-1기의 소득에 의존하고, t-1기의 소비는 t-2기의 소득에 의존한다고 가정하면,

 

▣ 가속도원리의 장점과 한계

 

가속도원리는 소비나 소득의 변화율보다 투자수요의 변화율이 훨씬 큰 경기변동현상을 설명해주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1. 수요 증가에 생산시설 증가로 대처한다고 가정함으로써 묵시적으로 기존 생산시설의 완전 가동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가동하지 않고 있는 생산시설이 있을 때, 이를 가동하여 수요 증가에 대처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기회복 단계에서의 왕성한 투자활동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2. 가속도계수가 항상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경기변동 단계에 따라 가속도계수가 변한다. 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나타난 이론이 자본스톡조정모형이다.
 

▣ 신축적인 가속도원리(flexible accelerator)=자본스톡조정모형
이 원리에 따르면 원하는(바람직한) 자본존재량 K*와 실제의 자본존재량 Kt-1사이의 격차가 클수록 투자는 커진다고 본다. 또한 매년마다 K*와 Kt-1사이의 격차 중에서 일정한 비율인 λ만큼씩을 채운다고 전제한다.
 
가속도원리의 시차를 도입하여 동학식으로 바꾸면,

 
위 식에서 It는 t기의 신투자,  Kt-1은 t-1기의 자본스톡이다.  K*와 Kt-1의 갭에 λ의 일정비율을 곱한 만큼 신투자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K*와 Kt-1의 갭이 작아지면, t기의 신투자는 작아진다. 이 점에서 신축적인 가속도원리를 자본스톡조정모형이라고도 한다.
다른 한편, 기업의 목표생산량이 높을수록 K*와 투자 수요가 증가한다. 따라서 자본스톡조정모형은 생산 및 소득의 증대가 투자를 증가시킨다는 가속도원리도 포괄하고 있다. 자본스톡조정모형은 신고전학파적 투자수요이론으로 불리면서 주류 경제학에서 대표적인 신투자수요이론이 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