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연관분석론 2

최근 산업연관분석론 개정증보판 발간! 산업연관분석이론과 추정방법, 적용과 사례분석, 모형의 확장, 통계패키지 이용법 설명! 종이책(POD) 교보문고 발간! [이춘근 도서평설 397회]

제가 최근 집필한 산업연관분석론 개정 증보판이 교보문고 퍼플사의 POD종이책으로 발간되어 소개한다.산업연관분석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각 산업의 투입과 산출관계를 통한 상호연관관계에 기초한 분석기법이므로 한 산업에 대한 수요변화는 관련되는 다른 산업의 공급변화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일국 경제의 수요와 공급을 산업별로 세분하여 분석하는 경제예측이나 계획수립 등에 유용한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산업연관분석은 산업부문간의 기술적인 상호의존관계(중간거래 관계)를 포착하고, 최종수요를 외생변수로 하여 그것이 경제에 미치는 각종 유발효과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 책이 지역산업연관분석론이란 제목으로 발간된지 약 18년이 지났다. 본 서가 집필되고 난 이후 각계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기도 하였다. 특히..

저서; 지역산업연관분석론- 서문과 책 소개! [이춘근교수 경제지식 티스토리 13회]

序 文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논의가 점차 고조되고 있다. 지역경제의 실태를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역경제의 실물의 흐름과 금융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는 지역총생산표와 지역수지표, 지역산업연관표, 지역자금순환표, 지역대차대조표 등 5대 地域社會計定이 작성되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경제구조를 정확히 분석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역사회계정은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만 발표되고, 나머지는 거의 작성하지 못하고 있어 지역경제의 올바른 분석을 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실정에 있다. 지금까지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지역경제분석기법들은 경제기반모형과 변화할당분석, 입지계수법, 지역전문화지수, 선형계획 분석 등인데 이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