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대선후보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연일 조금식 이재명 후보를 추격하고 있다. 여론조사기관인 여론조사공정(주)과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의 5월 4주차 여론조사에서 김문수후보와 이재명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접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대형 방송 3사가 선호하여 수시로 발표하는 갤럽이나 리얼미터에 비해서 더 정확할 것으로 생각된다.
▣ 데일리안의 여론조사공정(주)
6·3 대선에서 TV토론에 출연했던 네 명의 후보 중 누구에게 투표할지를 설문한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5.1%,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41.9%를 기록했다. 두 후보 사이의 격차는 불과 3.2%p로 오차범위 내다. 첫 TV토론과 이재명 후보의 '호텔경제학' 발언 및 '커피 원가 120원' 논란 등이 보수층 결집을 촉발한 것으로 해석된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19~20일 무선 100% ARS 방식으로 '6월 3일 대선에서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고 물은 결과, 45.1%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41.9%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택하겠다고 답했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19~20일 무선 100% ARS 방식으로 '6월 3일 대선에서 다음 사람들 중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고 물은 결과, 45.1%가 이재명 후보를 선택했다. 이는 지난주 본보 여론조사 대비 0.7%p 내린 수치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지난주 대비 3.1%p 오른 41.9%를 기록했다. 선두인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간 지지율 격차는 7.0%에서 3.2%p로 좁혀졌다. 본보 여론조사에서 김문수 후보가 40%대에 진입한 것, 양강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8.0%,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0.8%로 뒤를 이었다. '기타 다른후보' 1.1%, '없다' 2.0%, '잘 모르겠다' 1.0%로 집계됐다.
권역별 양강 후보의 지지율을 살펴보면 먼저 이재명 후보는 △서울 43.0% △인천·경기 45.9% △대전·세종·충남북 51.8% △광주·전남북 64.0% △대구·경북 32.5% △부산·울산·경남 35.3% △강원·제주 52.0%였다.
김문수 후보는 △서울 39.2% △인천·경기 42.4% △대전·세종·충남북 32.6% △광주·전남북 24.7% △대구·경북 57.3% △부산·울산·경남 52.8% △강원·제주 40.3%를 기록했다.
이준석 후보는 대전·세종·충남북(11.0%)에서, 권영국 후보는 광주·전남북(2.1%)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연령별로는 이재명 후보가 △30대(이재명 42.6% vs 김문수 35.8%) △40대(이재명 58.8% vs 김문수 32.9%) △50대(이재명 55.0% vs 김문수 36.7%)에서 김문수 후보를 앞섰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60대(이재명 35.4% vs 김문수 58.0%) △70대 이상(이재명 39.9% vs 김문수 54.9%)에서 이재명 후보를 따돌렸다. 20대 이하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35.7%, 김문수 후보가 33.1%로 접전을 벌였다.
▣ 아시아투데이의 한국여론평판연구소(POPRA)
5월 21일 대선후보 지지도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46%,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41%,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는 10%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양강 구도 속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오차범위 내 5%포인트(p)로, 접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보수 지지층(김문수 후보 72%)보다 진보 지지층(이재명 후보 80%)의 결집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투데이가 의뢰해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가 지난 20일 하루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로, 이재명 후보 46%, 김문수 후보 41%, 이준석 후보 10%의 지지율을 보였다. 이어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 1%, 황교안 무소속 대선후보 1%, 송진호 무소속 대선후보 0%, 없음 1%, 잘모름 1% 지지율 순을 나타냈다.
양강 구도인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지지율은 같은 조사기관의 직전 여론조사(지난17일)와 비교했을 때 이재명 후보는 2%p(48%→46%) 하락했고, 김문수 후보는 1%p(40%→41%) 상승했다. 이준석 후보도 직전 조사보다 1%p(9%→10%) 지지율 상승을 나타냈다.
이는 지난 18일 중앙선거방송토론회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대선후보 TV토론회 이후 결과로, 이재명 후보는 하락, 김문수·이준석 후보는 상승 등에 영향을 준 것으로 관측된다.
또한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대선후보 지지도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17차(5월4~5일) 여론조사부터 시작해 이재명 후보는 50%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고, 김문수 후보는 33%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문수, 60대 연령층·경기인천 지역 지지율 낮아…회복 시 박빙 승부 예상
연령별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 △18~29세 35% △30대 43% △40대 56% △50대 55% △60대 49% △70세 이상 35%의 지지율을 보였다. 김문수 후보 △18~29세 34% △30대 36% △40대 34% △50대 37% △60대 42% △70세 이상 62%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지역별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 △서울 40% △인천/경기 52% △대전/세종/충청 38% △광주/전라 66% △대구/경북 38% △부산/울산/경남 39% △강원/제주 54%로 집계됐다. 김문수 후보 △서울 46% △인천/경기 36% △대전/세종/충청 48% △광주/전라 26% △대구/경북 44% △부산/울산/경남 50% △강원/제주 33%로 나타났다.
◆중도층 지지율 이재명 43% vs 김문수 37%, 오차범위 내 6%p 차이…지난 조사와 동일
정당 지지도별로는 보수층(김문수 후보 72%)보다 진보층(이재명 후보 80%)의 결집이 더 강해지고 있다. 정당 지지도별 지지율에서 이재명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96% △국민의힘 2% △조국혁신당 78% △개혁신당 7% △진보당/기타 24% △없음/잘 모름 25%를 나타냈다. 김문수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2% △국민의힘 90% △조국혁신당 11% △개혁신당 29% △진보당/기타 58% △없음/잘 모름 50%로 집계됐다.
두 후보에 대한 정당 투표성향별 지지율에서 중도층 지지는 이재명 후보 43% 대 김문수 후보 37%로 오차범위 내(직전 조사와 동일)에서 접전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정당 투표성향별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 △보수 14% △중도 43% △진보 80% △잘 모름 49%, 김문수 후보 △보수 72% △중도 37% △진보 14% △잘 모름 29%의 지지율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를 이용한 ARS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7.7%(13088명 중 1003명)이며 2025년 4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저는 개인적으로 거대 여론조사기관인 갤럽이나 리얼미터 여론조사보다 여론조사공정(주)와 아시아투데이의 KOPRA 여론조사가 더 맞을 것으로 생각된다. 갤럽 여론조사는 표본이 진보좌파쪽에 더 치운친 것으로 판단된다. 일전에 갤럽의 지역별로 발표한 자료를 보니 대구경북지역 표본을 47명을 해놓고, 대구경북지역의 지지율이라고 발표한 것을 보고 웃기는 조사라고 생각했었다.
김문수후보가 이준석, 황교안 후보 등과 단일화에 성공한다면, 역적 가능성이 농후하다. 김문수 캠프는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 여부에 신경써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아시아투데이, 2025.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