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정치현안

대선 양자대결에서 김문수 후보가 한덕수를 추월했다! 국힘당 대선후보는 김문수로 뭉쳐야 한다! 가상 양자대결시 金 43.4% vs 李 51.1% 대 韓 42.8% vs 李 51.7% 로 나타났다! [이춘근 티스토리 405회]

경제지식(레오)7788 2025. 5. 6. 13:31
반응형

펜앤마이크의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와의 가상 양자대결에서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한덕수 후보보다 더 높은 지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 후보와 김 후보의 지지도 차이는 채 1%p가 나지 않았다.

 

펜앤마이크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이 지난 44일과 5일 이틀간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56일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선 가상 양자대결시 한 후보 42.8%, 이 후보 51.7%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김 후보의 경우 43.4%, 이 후보 51.1%였다.

 

두 후보를 비교했을 때 김 후보가 0.6%p 더 높았다. 이 후보와의 차이는 한 후보의 경우 8.9%p, 김 후보의 경우 7.7%p였다.

그외 이낙연 후보의 경우 37.9% 대 이재명 후보 52.4%, 이준석 후보의 경우 30.0% 대 이재명 후보 52.7%로 한·김 후보와는 달리 두 후보 모두 30%대에 머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문수 후보를 상정했을 시의 세부내역을 보면, 지역별로는 서울(김문수 42.2%, 이재명 52.3%) 경기·인천(43.6, 51.4) 대전·세종·충남북(40.1, 54.2) 광주·전남북(31.9, 64.2) 대구·경북(49.4, 42.1) 부산·울산·경남(44.0, 49.9) 강원·제주(66.5, 31.2)였다.

성별로는 남성(43.7, 50.2), 여성(43.1, 52.1)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이하(43.4, 46.6) 30(40.6, 51.8) 40(30.6, 66.1) 50(33.8, 62.3) 60(51.0, 45.2) 70세 이상(64.2, 30.6)였다.

반응형

한덕수 후보를 상정했을 시의 세부내역을 보면, 우선 지역별로는 서울(한덕수 40.8%, 이재명 54.3%) 경기·인천(42.5, 51.9) 대전·세종·충남북(37.7, 55.6) 광주·전남북(36.1, 60.9) 대구·경북(50.0, 43.8) 부산·울산·경남(42.3, 50.7) 강원·제주(68.9, 28.4)였다.

성별로는 남성(43.3, 50.7), 여성(42.4, 52.7)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이하(49.1, 43.4) 30(39.2, 53.2) 40(29.7, 65.8) 50(34.9, 61.7) 60(47.1, 47.4) 70세 이상(60.4, 34.3)였다.

지지 정당별로는 두 후보 모두 국민의힘과 민주당 지지층으로부터 90% 이상의 지지를 받은 가운데, '지지정당 없다'에서 각각 29.8%50.3%를 기록했다.

지지 정당별로는 이 후보가 민주당 지지층의 94.0%, 김 후보가 국민의힘 지지층의 89.1%를 얻었다. '지지정당 없다'에서는 김 후보 34.0%, 이 후보 43.2%를 각각 기록했다. 한 후보와 비교했을 때, 김 후보는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지지를, 무당층에서는 높은 지지를 얻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해당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ARS 전화조사로 무선 RDD ARS(100%), 응답률은 전체 5.7%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며 성, 연령, 지역별 인구비례에 다른 할당 추출로 올해 4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국가 인구통계에 따른 성, 연령, 지역별 가중치가 부여(림가중)됐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