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관분석의 유용성!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378회]
산업연관분석의 기본 가정에도 불구하고 산업연관분석의 유용성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산업연관분석은 국민경제 전체를 포괄하면서 전체와 부분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거시적 분석과 미시적 분석을 할 수 있고, 거시적 분석이 미치지 못하는 산업과 산업간의 상호연관관계까지도 분석이 가능하다.
둘째,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에 대한 생산, 고용, 소득 등 국내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각종 파급효과를 산업부문별로 나누어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계획의 수립과 예측 그리고 산업정책의 방향이나 조정 등에 유용한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비용인상요인(cost-push factors)에 의한 물가파급효과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다. 즉 산업상호간의 직접 및 간접 가격파급구조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고, 각 산업부문 생산물가격 형성에서 큰 역할을 하는 원가상승압력을 파악할 수 있다. 우리 경제와 같이 해외의존도가 높고 수입원자재 가격상승이나 임금, 이윤 등 비용인상요인에 의해서 물가상승압력을 크게 받는 물가구조에서는 보다 유용하게 분석방법이 된다.
넷째, 우리나라와 같이 생산기술이나 산업구조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경제에서는 국민경제내지 지역경제의 총체적인 소득순환분석과 산업연관분석이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질 때 더욱 효과적인 경제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산업연관분석의 주요 영역과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산업연관분석은 한 나라 또는 한 지역간의 경제분석이나 산업구조분석은 물론이고, 여러 국가간, 여러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경제분석에 활용되고 있으며, 환경문제나 에너지경제분석, 동학모형(dynamic model),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 선형계획모형과의 결합, RCGE 모형(Regional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까지 응용되고 있다.